예를 아는 만큼 추모도 깊어집니다.

현대의 장례는 주로 3일장으로 치릅니다.
미리 장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대비한다면
경건하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장례를 치르실 수 있습니다.

평소 지병이 있다면, 다니던 병원의 전화번호, 담당 의사, 병명 등을 적어둡니다.
유언이 있으면 기록하거나 녹음을 합니다.
(*유언기록은 법률적 근거에 의하여 작성하여야 합니다.)
영정사진 혹은 영정용으로 제작할 사진을 미리 준비합니다.
임종 시 고인에게 갈아 입혀드릴 깨끗한 옷을 미리 준비합니다.
부고시 알릴 친지, 지인 등의 연락처를 미리 정리합니다.
상주를 미리 정하고 장례식장, 안치 방법, 장소, 종교식 등을 준비합니다.
화장, 납골, 매장 안치 시 필요한 고인의 주민등록 초본을 준비합니다.
현대의 장례는 죽은 사람의 영혼에 대한
예식을 포함하는 상례와 함께 진행됩니다.
상례의 절차를 통해 비통한 마음과
정서를 제어하고,
마음의 애통을 적절하게
해소하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기독교 장례를 진행할 경우
반드시 목사님을 모셔야 합니다.
주일에 겹치지 않도록
보통 3일간 장례를 치릅니다.
천주교는 한국의 유교식 장례문화와 전통을
일부 인정하면서
조화롭게 장례를 치르는 한편,
연옥을 인정하기 때문에 훨씬 무겁고 엄중하게
진행됩니다.
(*연옥: 하나님 곁으로 가기 전
정화를 거쳐야 하는 상태)
생전의 마지막 숨, 운명
마지막 모습과 작별 인사, 입관
고인이 떠나는 길, 발인
생전의 마지막 숨, 운명
자택 혹은 병원에서 임종을 하시면 준비했던 병원이나 장례식장으로 이송합니다.
사망 하셨다는 증명서(사망진단서 혹은 사체검안서)를 발급 받으셔서 해당서류를 공원묘지 혹은 안치시설에 제출하셔야 합니다.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고인의 옷과 몸을 바로 하고 팔과 다리 등을 가지런히 합니다.
3일간 장례식을 진행할 장례식장 안치실에 고인을 모십니다.
영정사진, 장례용품, 꽃 등 제단 장식, 음식과 장례도우미를 준비합니다.
상조회사를 이용 중이시라면 상조회사에서 나온 의전팀장이 업무를 맡아서 진행합니다.
고인 분 주소지에 맞는 화장시설, 안장시설을 예약합니다.
주변 분들께 부고장 혹은 문자로 고인의 부고를 보냅니다.
종교가 있는 경우 종교에 맞춘 장례예식을 진행합니다.
마지막 모습과 작별 인사, 입관
고인을 관에 모시기 전에 장례지도사가 시신을 닦고 수의를 입히는 염습을 진행합니다.
시신을 관 안에 모시는 단계로 유가족들이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보며 인사를 드립니다.
상복으로 갈아입습니다. 예전과 달리 현재는 첫날부터 상복을 입고 입관 후 완장을 차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장례 예식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조문객을 받습니다.
종교가 있는 경우 입관 후 종교에 맞춘 예식을 진행합니다.
(*종교가 없는 경우 생략됩니다.)
고인이 떠나는 길, 발인
발인 전에 장례식장과 상조회사의 정산을 마무리하고 식장을 정리합니다.
고인이 장례식장을 떠나 화장장이나 장치로 이동할 때 행하는 의식입니다.
종교가 있으면 종교에 맞는 발인예식이 진행됩니다.
매장은 장지 도착 후, 관리사무소에 서류를 접수하고 직원의 안내를 받아 매장지에서 하관합니다.
화장은 주소지에 맞는 화장시설에서 1시간 30분 정도 소요 됩니다.
시신 혹은 화장 후 유골을 공원묘지나 납골당 등 안치시설에 안장합니다.
가족 친지들과 감사와 위로를 나누고 삼우제 등을 준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