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아는 만큼 추모도 깊어집니다.

현대의 장례는 주로 3일장으로 치릅니다.
미리 장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대비한다면
경건하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장례를 치르실 수 있습니다.

평소 지병이 있다면, 다니던 병원의 전화번호, 담당 의사, 병명 등을 적어둡니다.
유언이 있으면 기록하거나 녹음을 합니다.
(*유언기록은 법률적 근거에 의하여 작성하여야 합니다.)
영정사진 혹은 영정용으로 제작할 사진을 미리 준비합니다.
임종 시 고인에게 갈아 입혀드릴 깨끗한 옷을 미리 준비합니다.
부고시 알릴 친지, 지인 등의 연락처를 미리 정리합니다.
상주를 미리 정하고 장례식장, 안치 방법, 장소, 종교식 등을 준비합니다.
화장, 납골, 매장 안치 시 필요한 고인의 주민등록 초본을 준비합니다.
현대의 장례는 죽은 사람의 영혼에 대한
예식을 포함하는 상례와 함께 진행됩니다.
상례의 절차를 통해 비통한 마음과
정서를 제어하고,
마음의 애통을 적절하게
해소하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기독교 장례를 진행할 경우
반드시 목사님을 모셔야 합니다.
주일에 겹치지 않도록
보통 3일간 장례를 치릅니다.
천주교는 한국의 유교식 장례문화와 전통을
일부 인정하면서
조화롭게 장례를 치르는 한편,
연옥을 인정하기 때문에 훨씬 무겁고 엄중하게
진행됩니다.
(*연옥: 하나님 곁으로 가기 전
정화를 거쳐야 하는 상태)
하늘의 부르심, 소천
성도(고인)가 임종하면 담임 목사님께 가장 먼저 연락을 하고 모셔서 세상을 떠나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느님께 드리는 임종 예배를 갖습니다.
남은 이들을 위한 위로
고인을 장례식장으로 모신 첫째 날 위로예배를 드리며, 생전에 다니던 교회의 목사님과 성가대가 와서 집전합니다. 빈소의 제단에는 성경책과 십자가, 위패만 올려 놓고 조문객들도 분향대신 헌화를 하므로 헌화 꽃을 준비합니다.
마지막 모습과 작별 인사, 입관
입관 후 바로 예배를 드리지 않고, 유족들이 고인과의 마지막 시간을 충분히 보내고 입관식이 종료된 후 예배를 드립니다. 조문객을 위한 헌화 꽃을 준비하지만, 최근에는 조문객의 종교 자유를 생각하여 분향도 함께 준비하는 유족들도 많습니다.
고인 떠나는 길, 발인
장례지도사가 발인시간을 알려주면 유가족과 목사님, 조문객들이 발인 30분 전에 예배를 드립니다. 발인예배와 발인 후 운구 행렬 때 찬송가를 다 함께 부르며 배웅하고 화장장 또는 매장을 할 장지에서도 하관 예배를 드립니다.
화장 후 추모관에 유골함을 안치할 때 추모예배를 추가적으로 드릴 수 있습니다.